💡 정의
- 컴퓨터 사용자 - HW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하며, 응용 SW 실행을 제어하는 SW
- 컴퓨터의 자원을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SW (컴퓨터의 모든 자원(HW + SW + 데이터) 관리)
- 자원에 대한 독점 권한 소유
- 컴퓨터 시스템 관리자임. (사용자 관리 + 자원 관리 + 성능 관리 + 보안 관리)
- SW임. (커널 + UI를 비롯한 도구 프로그램들 + 디바이스 드라이버)
- 일반 SW와 주요한 차이는 그 프로그램의 의도임. (CPU에게 다른 시스템 자원의 사용을 지시 → 다른 프로그램의 수행될 시점 결정)
💡 목적
- 편리성 / 효율성 / 제어 서비스 향상
사용자/컴퓨터 인터페이스로서의 운영체제
- 컴퓨터를 응용프로그램의 집합으로 바라봄. (응용 프로그램 사용자는 컴퓨터의 구조에는 관심X)
- 응용 프로그램이 HW 자원/서비스에 쉽게 접근하고,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함.
- OS 서비스 : 프로그램 실행 / 입출력 장치 접근 / 파일 접근 제어 / 시스템 접근 / 에러 발견 및 응답 / API, ABI, ISA
자원 관리자로서 운영체제
- CPU에게 다른 시스템 자원의 사용 지시 / 다른 프로그램이 수행될 시점을 결정
💡 기능
- 보안 관리 : 외부 침입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, 사용자 보호
- 네트워크 관리 : 네트워크 입출력 / 분산처리 관리
- 장치 관리 : 장치로부터 읽기 / 장치에 쓰기 / 장치 제어
- 프로세스 관리 : 프로세스 적재 / 실행 / 종료 / 새 프로세스 생성 / 스케줄 / 동기화
- 메모리 관리 : 메모리 할당, 반환 / 메모리 보호 / 디스크 영역으로 메모리 영역 확장 (가상 메모리)
- 파일 시스템 관리 : 파일 생성, 삭제 / 열기, 닫기 / 읽기, 쓰기 / 저장 위치 관리 / 파일 속성 등 정보 관리 / 디스크의 반 영역 등 저장 장치 관리
- 기타 관리 : 사용자 계정 / 통계 / 오류 발견 및 대응 / 부팅
OS - 응용 SW 차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