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. 기초
·
📚 STUDY/👀 컴퓨터비전
https://docs.opencv.org/4.5.5/ 💡 Mat- Matrix 클래스 (행 : 이미지 세로, 열 : 이미지 가로)- OpenCV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클래스#include "mat.hpp" 💡 imread()- 함수🌐 매개변수 : filename(파일 경로 및 이름), flags(enum 형태. 1(default, 컬러) or grayscale 등)- 반환형 : Matrix 💡 imshow()- 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내 모니터에 출력하고 싶을 때- 함수 🌐 매개변수 : winname, inputArray mat (입력으로 쓰이는 Matrix) 💡 waitKey()- 명시해놓지 않으면 창(이미지)이 뜨자마자 바로 닫힘- 창을 유지한 채로 사용자에게 키보드 입력을 받음...
1. 개요
·
📚 STUDY/👀 컴퓨터비전
💡 '컴퓨터비전'이란?컴퓨터를 이용해 이미지 or 비디오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✔ image(or video) ➡ sensing device ➡ interpreting device ➡ interpretations- image(or video) : 입력 데이터 (사진 한 장 or 비디오(프레임들의 연속))- sensing device : 세상의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 (픽셀 정보로 바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해줌)- interpreting device : 이미지 데이터를 이해 가능한 정보로 바꾸기 위해 수학적 알고리즘과 모델을 적용하는 장치/SW (CV 알고리즘들이 작동함 - 전처리, 특징 추출, 딥러닝 기반 인식, 기하학적 계산)- interpretatio..
BFS (너비 우선 탐색)
·
📚 STUDY/📈 알고리즘
그래프 시작 정점으로부터 가까운 정점부터 순차적으로 방문해나가는 탐색 알고리즘이다.인접한 정점들을 먼저 방문하고, 그 다음 그들의 인접 정점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즉, 최단 경로를 찾을 때 많이 사용한다. 💡 BFS의 정당성 ✅ 시작정점에서 도달 가능한 모든 정점을 정확히 한 번씩 방문한다. 1. Queue에서 정점 u를 꺼낸다.2. u에 인접한 모든 정점 v를 확인한다.3. 방문❌ 정점 v는 방문 표시를 하고, 큐에 삽입한다.즉, 한 번 방문한 정점은 다시 큐에 삽입❌ → 정점은 정확히 한 번 방문한다. 💡 BFS의 최단 경로성✅ BFS는 시작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다. - 시작 정점 s에서 각 정점까지의 거리 : d(v) (= 간선의 수)- BFS는 항상 거리가..
DFS (깊이 우선 탐색)
·
📚 STUDY/📈 알고리즘
그래프에서 가능한 깊이까지 먼저 탐색한 다음, 더이상 진행될 수❌ → 다시 돌아와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. 💡 DFS의 정당성 ✅ 시작정점에서 도달 가능한 모든 정점을 정확히 한 번씩 방문한다.- DFS는 방문한 정점에 대해 방문 표시를 한다.- 어떤 정점 v를 방문할 때, v에 인접한 정점 w 중, 방문❌ 정점에 대해 재귀적으로 탐색하거나 스택에 넣는다.- 한 번 방문한 정점은 다시 방문❌ → 각 정점은 정확히 1번 방문된다. 💡 DFS의 깊이 우선 탐색 특성✅ DFS는 가능한 깊이까지 탐색을 진행한 후, 막히면 되돌아가서 탐색을 이어간다.✔ 증명 (DFS 흐름은 다음과 같다.)1. 현재 정점 v에서 인접한 정점 w를 찾는다.2. 아직 방문❌ 정점 w 발견 → 그 정점으로 바로 이동해 탐..
Quick sort
·
📚 STUDY/📈 알고리즘
Divide-and-conquer를 기반으로 하는 정렬 알고리즘으로, 방식은 아래와 같다.1. Pivot 선택 : 배열에서 하나의 원소를 pivot으로 선택한다. 2. 분할 : pivot을 기준으로 pivot보다 작은 원소는 왼쪽, 큰 원소는 오른쪽으로 배열한다.3. 재귀 호출 : 왼/오른쪽 부분 배열에 quick sort를 재귀적으로 수행한다. 💡 이상적인 경우 pivot이 항상 배열을 거의 절반으로 나누는 경우, T(n) = 2T(n/2)+O(n) 재귀식을 따른다.마스터 정리를 이용하면, T(n)=O(nlogn)이 된다. 💡 최악의 경우pivot이 항상 가장 작거나 or 큰 원소를 선택하는 경우이다.(= 배열이 거의 정렬되어 있거나 역순일 때 잘못된 pivot을 선택한다는 말)이때, partit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