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📌 문제
C 언어 프로그래밍에서 문자열(string)은 native한 자료형이 아니다.
사실, 문자열은 그저, 문자열의 끝을 표시하기 위한 말단의 NULL이 사용된,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일 뿐이다.
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, C 표준 라이브러리는 문자열을 다루는 데에 매우 유용한 함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: 그들 중에는 strcpy, strcmp, strtol, strtok, strlen, strcat 가 있다.
하지만,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, 잘 사용되지도 않는 함수가 하나 있다 : strfry 함수다.
strfry 함수는 입력된 문자열을 무작위로 재배열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낸다.
(역자 주 : 여기에서 입력된 문자열과 새로 재배열된 문자열이 다를 필요는 없다.)
두 개의 문자열에 대해, 2번째 문자열이 1번째 문자열에 strfry 함수를 적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지 판단하라.
💡 입력
입력의 첫 번째 줄은 테스트 케이스의 수 0 < N < 1001 이다.
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는 하나의 줄에 영어 소문자들로만 이루어진 두 개의 문자열이 한 개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각각의 문자열의 길이는 최대 1000 이다.
💡 출력
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, 2번째 문자열이 1번째 문자열에 strfry 함수를 적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지의 여부를 "Impossible"(불가능) 또는 "Possible"(가능)으로 나타내시오. (따옴표는 제외하고 출력한다.)
✅ 풀이
소문자로만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아스키코드 표에서 a는 97, z는 122를 나타낸다.
① 첫 번째 문자열을 str1 배열에, 두 번째 문자열을 str2 배열에 입력받는다.
② str1, str2 각각 문자의 개수를 num1, num2 배열에 담았다.
➡ a는 idx 1번, b는 idx 2번 이런 식으로 말이다.
③ a부터 z번째까지 개수를 비교해, 중간에 개수가 다른게 하나라도 있다면 flag 변수를 1로 바꾼다.
➡ 이 말은 Impossible 하다는 뜻이다.
④ flag 변수로 Possible 혹은 Impossible을 출력한다.
여기서 문득 든 생각이 있다.
str1, str2의 개수가 같다고 가정하는가? 말이다.
개수가 다르면 바로 Impossible이기 때문.
하지만 위의 과정으로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추가해주지 않았다.
🌐 코드 (C)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int main()
{
int n, flag = 0;
scanf("%d", &n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har str1[1001], str2[1001];
int num1[27] = { 0, }, num2[27] = { 0, };
scanf("%s %s", str1, str2);
for (int j = 0; str1[j] != '\0'; j++) {
num1[str1[j] - 96]++;
}
for (int j = 0; str2[j] != '\0'; j++) {
num2[str2[j] - 96]++;
}
flag = 0;
for (int j = 1; j < 27; j++) {
if(num1[j] != num2[j]) flag = 1;
}
if(flag == 1) printf("Impossible\n");
else printf("Possible\n");
}
return 0;
}
🌐 코드 (C++)
위의 C 코드를 그대로 C++로 변경한 것이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int n, flag;
cin >> n;
for(int i = 0; i < n; i++) {
char str1[1001], str2[1001];
int num1[27] = {0,}, num2[27] = {0,};
cin >> str1 >> str2;
for(int j = 0; str1[j] != '\0'; j++) num1[str1[j]-96]++;
for(int j = 0; str2[j] != '\0'; j++) num2[str2[j]-96]++;
flag = 0;
for(int j = 1; j < 27; j++) {
if(num1[j] != num2[j]) flag = 1;
}
if(flag == 1) cout << "Impossible" << '\n';
else cout << "Possible" << '\n';
}
return 0;
}
이보다 더 예쁘게 코드를 짤 수 없을까? 생각이 들었다.
한 가지 놓친 것이 있다.
C에서는 string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아, char 배열로 문자열을 저장하고 하나하나 접근해야 했다.
C++에서는 string이 존재한다.
C와 다르게 문자열 끝에 '\0'이 포함되지 않아 문자열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도 가능하다.
string 클래스 멤버 함수 또한 아주 많다. (이건 다른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.)
아무튼, 코드를 수정해보았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int n, flag;
cin >> n;
for(int i = 0; i < n; i++) {
string str1, str2;
int num1[27] = {0,}, num2[27] = {0,};
cin >> str1 >> str2;
for(auto j : str1) num1[j-96]++;
for(auto j : str2) num2[j-96]++;
flag = 0;
for(int j = 1; j < 27; j++) {
if(num1[j] != num2[j]) flag = 1;
}
if(flag == 1) cout << "Impossible" << '\n';
else cout << "Possible" << '\n';
}
return 0;
}
for문 auto도 기존보다 훨씬 편리하게 쓸 수 있는 것 같아서 써봤다...!
'📑 공부 > 🌐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309번] 일곱난쟁이 (2) | 2025.03.04 |
---|